한의학적으로 본 우울증 – 기운이 돌지 않을 때 마음도 멈춘다
경희고려한의원장
한의학박사 문 희 석
우울증은 단순히 슬픔만의 문제가 아닙니다.
의욕이 없어지고, 모든 것이 무기력하게 느껴지며, 때론 숨 쉬는 것도 버거워지곤 하죠.
겉으론 멀쩡해 보여도 속은 온통 어두운 안개처럼 가라앉아 있습니다.
한의학에서는 이런 상태를 오래 전부터 ‘울증(鬱症)’ 또는 **‘기울(氣鬱)’**이라 불러왔습니다.
말 그대로 기운이 울체되어 막혀 있는 상태입니다.
마음속에 풀지 못한 감정—슬픔, 분노, 억울함, 상실감—이 쌓이고 쌓여
기운이 흐르지 못하고 정체되면, 몸도 마음도 함께 지쳐갑니다.
특히 **간(肝)**이라는 장부는 기운을 소통시키는 역할을 하는데,
이 간의 기운이 막히면 가슴이 답답하고, 한숨이 자주 나오고, 의욕이 뚝 떨어집니다.
비장(脾)은 생각을 주관하고, 심장(心)은 정신을 다스리는데,
기운이 막히면 이 장부들까지 약해져 무기력, 건망, 불면, 소화장애까지 동반됩니다.
한의학 치료는 기운의 흐름을 도와주고, 마음을 안정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.
기운을 풀어주는 소간해울(疏肝解鬱), 심비를 보하는 귀비탕,
신경안정을 돕는 안신제 등 맞춤 처방이 사용됩니다.
우울함은 나약해서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.
단지 너무 많은 감정을 혼자 안고 버텨온 결과일 뿐입니다.
기운이 흐르면 몸도 마음도 따뜻해집니다.
한의학은 그 막힌 기운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치료법을 제시합니다.
혼자 참고 계시다면, 꼭 손 내밀어 주세요.
기운이 도는 길을 함께 찾아드릴 수 있습니다.